건물, 병원, 공장, 데이터센터 등에서
비상발전기(Emergency Generator)는 전력공급이 끊겼을 때
즉시 백업 전원을 공급하는 핵심 설비입니다.
하지만 “설치만 해두면 끝”이 아니죠.
비상발전기의 정기 유지보수(PM, Preventive Maintenance)는
‘사용하지 않는 순간에도’, ‘사용할 수 있도록’ 하는 기술력과 관리의 총합입니다.
✅ 비상발전기 PM(PM = Preventive Maintenance)이란?
정기 유지보수(PM)란 문제가 생기기 전에 예방적으로 점검하고,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관리 활동을 의미합니다.
비상발전기 PM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집니다.
- 예기치 못한 고장 예방
- 비상 시 정상 작동 보장
- 발전기 수명 연장
- 법정 점검 기준 충족 및 리스크 최소화
🛠 주요 점검 항목
항목점검 내용
배터리 상태 | 충전 상태, 전압 측정, 교체 주기 확인 |
연료 시스템 | 연료 누유 여부, 오염도, 연료 필터 교환 |
냉각 시스템 | 냉각수량, 냉각팬 작동 여부, 온도 센서 확인 |
윤활 시스템 | 오일 레벨, 오일 교체 주기, 누유 확인 |
발전기 | 출력 전압·주파수 확인, 부하 운전 테스트 |
제어판넬 | 경고등, 계기판, 제어모드 점검 |
부하운전 테스트 | 실제 부하 연결 시 정상 동작 여부 확인 |
🧰 PM 서비스 진행 순서 (일반적인 절차 기준)
- 현장 도착 및 안전 점검
- 외관 및 기본상태 확인 (누유, 이물질 등)
- 각 계통별 작동 시험 및 전기 측정
- 필요시 필터/오일류 교체
- 부하운전 또는 시운전 실시
- 점검 결과 리포트 작성 및 고객 브리핑
📌 일반적으로 6개월 주기 or 연 1~2회 점검이 권장됩니다.
📎 비상발전기 PM의 법적 기준 (대한민국 기준)
구분점검 의무 주체기준
소방시설 | 소방시설관리업자 | 월 1회 이상 자가점검 / 연 1회 이상 전문점검 |
전기설비 | 전기안전관리자 | 산업안전보건법 기준에 따라 주기 점검 |
✅ 시설규모 및 종류에 따라 소방·전기·건축법 연계 주의
💡 PM 서비스를 외주 맡길 때 체크포인트
- ✔️ 정기점검 인증 이력 여부
- ✔️ 부하운전 장비 보유 여부
- ✔️ 기록 리포트 제공 여부 (PDF, 엑셀 등)
- ✔️ 비상 상황 대응 매뉴얼 제시 가능성
🔍 PM 서비스 제공 업체
- 커민스판매써비스코리아
- 혜인
- 지엔씨에너지
- 코스탈파워
- 기타 발전기 업체들
✅ 마무리 요약
비상발전기는 쓸 일이 없어야 하지만, 쓸 수 있어야 하는 장비입니다.
**정기 유지보수(PM)**는 단순한 점검이 아닌
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기술관리의 기본입니다.